Tip

TanStack Form과 React Hook Form, 어떤 폼 라이브러리를 선택할까?

Kir93 2025. 9. 11. 15:35
728x90
반응형

TanStack Form과 React Hook Form, 어떤 폼 라이브러리를 선택할까?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폼(Form) 관리는 피할 수 없는 숙제입니다. 

단순한 로그인 폼에서 시작해 어느새 수십 개의 필드와 복잡한 검증 로직을 가진 건드리기도 싫은 코드가 되어버린 경험, 모든 개발자가 한 번쯤은 겪어봤을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React Hook Form은 오랫동안 React 생태계의 표준으로 자리 잡아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TanStack Form이라는 새로운 선택지가 등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라이브러리의 핵심 차이점을 분석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라이브러리를 선택해야 하는지 실무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차이점 이해하기

먼저 두 라이브러리가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 방식의 차이를 이해해 봅시다. 

React Hook Form은 성능 최적화에 중점을 둡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uncontrolled components를 기본으로 사용하여 불필요한 재렌더링을 최소화합니다. 

반면 TanStack Form은 타입 안전성과 개발자 경험에 더 무게를 둡니다.


React Hook Form을 사용할 때, 폼의 상태는 DOM에 직접 저장되고, 필요할 때만 React 상태와 동기화됩니다. 

이는 마치 전통적인 HTML 폼처럼 동작하면서도 React의 장점을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반대로 TanStack Form은 모든 폼 상태를 메모리에서 관리하면서, 타입스크립트의 강력한 타입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아래 표는 주요 비교 항목별로 두 라이브러리의 특장점을 요약한 것입니다.

비교 항목  TanStack Form React Hook Form
성능(렌더링 최적화 등) 필드 단위 시그널(Signal) 기반 미세한 반응성 제공. 한 필드 변경 시 다른 필드 재렌더 없음. 대형 폼에서도 불필요한 렌더링 최소화. 비제어(Uncontrolled) 컴포넌트 활용 및 ref로 폼값 관리하여 렌더링 수 최소화. 기본값 변경 외 폼 전체 재렌더를 억제하여 성능 최적화.
타입 안전성과 TS 지원 Deep Type Inference: 일급 타입스크립트 지원: defaultValues로부터 필드 타입 자동 추론. 제너릭 수동 지정 불필요, 컴파일 타임 오류 예방. Zod 등 스키마 연동 원활. 타입스크립트 지원은 있으나 필드 타입 수동 정의 필요. 다양한 검증 라이브러리(Yup, Zod 등)와 통합 가능. 중대형 폼에서 TanStack 대비 타입 추론 한계로 보일 수 있음.
API 설계 철학 & 최신 React 패러다임 Headless(비UI) 컴포넌트 중심 설계. <Form>과 <Field> 컴포넌트 또는 훅을 통해 폼 로직을 UI와 분리. 시그널 기반 아키텍처로 React 외에도 Vue/Svelte 등 프레임워크 agnostic 동작. SSR/React Server Component 환경에서 즉시 호환(Next.js App Router 지원). 최신 비동기 검증, 디바운스 등의 기능 내장. React 훅 중심 설계로 직관적이고 최소한의 API 제공. 기본적으로 **HTML 폼의 기본기능(내장 검증)**을 활용하며 React 최신 기능과도 충돌 없음. 비제어 폼 기본채택으로 React의 전통적 패턴과 호환. Next.js 등 SSR에서도 사용 가능하나, TanStackほど SSR 지원을 강조하진 않음.
커스터마이징 & 컴포저블 구조 완전 헤드리스: UI 구성 요소를 강제하지 않아 어떤 디자인 시스템이든 통합 가능. 폼 섹션을 나누고 재사용 가능한 훅/HOC 패턴 제공 (예: withForm, createFormHook)으로 컴포저블한 구조 지원. 대가로 초기 세팅 복잡(학습곡선 있음). DevTools 미제공(추후 예정). 유연한 통합: FormProvider 및 useFormContext로 하위 컴포넌트 간 폼 상태 공유 용이. MUI 등 외부 UI 컴포넌트와의 통합 위해 <Controller> 제공. 필드 배열 관리 훅(useFieldArray) 등 지원. 공식 DevTools 제공으로 디버깅 편의. 다만 MUI 같은 제어 컴포넌트 통합 시 추가 코드 필요하고, TanStack처럼 아예 프레임워크 불문 재사용성을 염두에 둔 설계는 아님.
실무 적용 사례 & 커뮤니티 출시된 지 얼마 안 된 신예: 아직 예시/튜토리얼 부족. GH 스타 ~5천, 주간 다운로드 115k 수준으로 성장 중. TanStack Query/Table 등으로 유명한 TanStack 팀 작품이라 관심 높지만 안정화 단계. 메인 개발자도 “현재 RHF에 만족한다면 굳이 갈아탈 것 없다” 언급. 성숙한 생태계: 2019년 출시 이후 사실상 업계 표준. GH 스타 4만+에 주간 수백만 다운로드로 커뮤니티 방대. 풍부한 자료(블로그, StackOverflow)와 지속적인 유지보수. 다양한 실무 사례 축적. 차세대 React 기능과도 함께 진화 중(예: React 18+ 서버 액션과의 연계 사례)

성능 관점에서의 비교

폼 라이브러리 선택 시 성능은 가장 우선 고려사항입니다. 

특히 대규모 폼(필드 수십~수백)이나 동적 검증이 있는 경우, 얼마나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상태를 관리하는지가 중요합니다.

TanStack Form

TanStack Form은 성능 최적화를 위해 시그널(Signals) 기반의 granular reactivity 아키텍처를 채택했습니다.

<form.Field
  name="firstName"
  validators={{
    onChange: ({ value }) => !value ? '필수 항목입니다' : undefined,
    onChangeAsyncDebounceMs: 500,
    onChangeAsync: async ({ value }) => {
      // 서버 검증 로직
      return await validateUsername(value);
    }
  }}
  children={(field) => (
    <>
      <input
        value={field.state.value}
        onChange={(e) => field.handleChange(e.target.value)}
      />
      {field.state.meta.isValidating && <LoadingSpinner />}
    </>
  )}
/>

 

TanStack의 상태 관리 스토어(@tanstack/store)를 통해 구현된 시그널 덕분에, 폼 상태 변화 시 관련되는 컴포넌트만 업데이트되며 다른 필드는 재렌더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폼 전체를 Context로 감싸 상태 변경마다 전역 재렌더링하던 과거 문제를 해소하고, 필요한 부분만 렌더 하므로 대형 폼에서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합니다. 

 

예를 들어 A 필드 값이 바뀌어도 B 필드는 영향받지 않으므로, 복잡한 의존 관계의 폼에서도 쾌적한 응답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TanStack Form은 입력을 모두 제어 컴포넌트로 다루지만, 시그널 기반 업데이트로 제어 컴포넌트의 단점인 잦은 렌더를 상쇄합니다. 

전체적으로 "필드 레벨 반응성"을 구현하여 필드 하나 변경이 폼 전체 리렌더로 이어지지 않는 것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React Hook Form(RHF)

React Hook Form의 인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뛰어난 성능입니다.

// 성능 최적화를 위한 useWatch 활용
const firstName = useWatch({ name: 'firstName' }); // 전체 폼 리렌더링 방지
const formValues = watch(); // 전체 폼 리렌더링 발생 - 주의!

 

RHF는 비제어(uncontrolled) 컴포넌트를 기본 사용하여 브라우저의 기본 폼 상태를 활용하고, 내부적으로 ref로 폼 값을 추적함으로써 React 상태 변경 없이도 입력값을 관리합니다. 

const { register, handleSubmit, watch, formState: { errors } } = useForm<FormData>();

// ref를 통한 자동 등록
<input {...register("firstName", { required: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 />

 

이 설계 덕분에 입력 값 변경 시 React 컴포넌트가 재렌더링되지 않고 DOM만 업데이트되므로 렌더링 횟수가 크게 감소합니다. 

또한 RHF는 필요한 경우에만 컴포넌트를 render 하도록 만들어져, 예를 들어 특정 필드의 에러 상태나 dirty 상태만 구독하면 그 값이 변할 때만 해당 UI가 갱신됩니다.

이러한 선택적 렌더링 전략과 가벼운 구현으로 RHF는 "성능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performance in mind)" 라이브러리로 알려져 있으며
, 특히 대규모 폼에서도 폼 변경마다 전체가 재렌더되는 일이 없도록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양쪽 모두 성능 면에서 Formik 같은 옛 세대 라이브러리보다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용량 폼에서 TanStack Form은 시그널을 활용한 보다 미세한 최적화로 필드 간 영향도를 완전히 격리시키는 장점이 있고, React Hook Form은 검증된 비제어 전략으로 이미 많은 실전 사례에서 충분히 빠른 성능을 입증했습니다. 

다만 TanStack Form은 새로운 시그널 개념을 도입한 만큼 의존 필드 간 실시간 상호작용(예: 한 필드 값에 따라 다른 필드 검증)이 복잡할 때 API 활용에 다소 학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RHF도 이런 의존성 처리에 특화된 기능은 없지만, 친숙한 패턴으로 보완이 가능합니다.)

요약

성능 관점에서 둘 다 우수하며 일반적인 폼 규모에서는 차이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아주 복잡하고 필드 수가 많은 폼에서는 TanStack Form의 시그널 기반 최적화가 장점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고, 중소 규모 폼에서는 RHF도 충분히 빠르고 가벼운 선택입니다.

실제 번들 크기도 RHF가 약간 더 작지만 큰 차이는 없고 둘 다 경량입니다.

  • TanStack Form: 36.4KB (minified), 9.6KB (gzipped)
  • React Hook Form: 30.2KB (minified), 10.7KB (gzipped)

타입 안전성과 개발자 경험

현대 프론트엔드 개발에서는 타입 안정성이 중요한데, 특히 폼 데이터의 스키마가 복잡한 경우 라이브러리가 타입스크립트 지원을 얼마나 잘해주는지가 생산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TanStack Form

"타입스크립트 퍼스트" 철학을 내세울 만큼 강력한 타입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가장 돋보이는 점은 useForm 초기화 시 넘기는 defaultValues 객체를 기반으로 폼 필드 타입을 자동으로 추론한다는 것입니다.

별도로 제너릭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defaultValues의 구조를 분석하여 각 필드의 타입이 정해지며, 이를 통해 폼 값과 오류 객체 등이 모두 정확한 타입을 갖게 됩니다.

예를 들어 defaultValues: { age: 0 }로 설정하면 form.Field("age").state.value는 자동으로 number 타입이 됩니다. 

 

거기에 TypeScript 컴파일러가 중첩된 객체와 배열의 타입까지 완벽하게 추론해 줍니다.

interface UserForm {
  profile: {
    name: string;
    contacts: Array<{
      type: 'email' | 'phone';
      value: string;
    }>;
  };
}

const form = useForm<UserForm>({
  defaultValues: {
    profile: {
      name: '',
      contacts: []
    }
  }
});

// TypeScript가 'profile.contacts.0.type'까지 완벽히 추론
<form.Field name="profile.contacts.0.type" />

 

이러한 정적 타입 체크 덕분에 런타임 오류를 예방하고 IDE 자동완성 지원이 뛰어나며, 리팩토링 시 필드명이 바뀌면 컴파일 타임에 잡아주는 등 개발 경험(DX)이 향상됩니다. 

 

또한 TanStack Form은 Zod, Yup, Valibot 등 여러 검증 스키마와 통합을 지원하는 표준 Schema 인터페이스를 따르고 있어, 스키마 기반 검증 시 스키마로부터 타입을 가져와 폼에 적용하는 식으로 검증 로직과 데이터 타입의 일치를 보장하기 쉽습니다. 

한마디로 "강한 타입 세이프티"가 TanStack Form의 핵심 강점 중 하나입니다.

React Hook Form

RHF 역시 타입스크립트 지원이 잘 되어 있지만, TanStack에 비하면 조금 더 수동적인 편입니다. 

useForm<T> 제너릭으로 폼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지정하여 필드 타입을 정의할 수 있고, watch나 errors 같은 객체도 해당 인터페이스 기반의 제너릭 타입을 제공합니다. 

다만 기본값으로부터 타입을 추론해주지는 않기 때문에, 개발자가 타입을 직접 선언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중첩된 필드나 배열 필드의 타입을 정의할 때 제너릭에 해당 구조를 정확히 명시해야 하므로 복잡한 데이터 구조일수록 타입 선언에 공수가 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RHF는 타입 지원 측면에서 업계 표준에 부합하며, Yup/Zod 등의 스키마 검증기와도 쉽게 연동됩니다.

(공식적으로 @hookform/resolvers 패키지를 통해 지원)

 

실무에서 RHF를 TS와 함께 사용할 때 흔히 겪는 이슈는 필드 이름 오타나 불일치가 컴파일 타임에 완벽히 잡히지는 않는다는 점인데, TanStack Form처럼 필드명을 아예 타이핑해 주는 API는 RHF에는 없어서 개발자 주의가 필요합니다.

요약

타입 안정성만 놓고 보면 TanStack Form이 한 수 위입니다.

정교한 제네릭 추론과 자동 완성으로 폼 값을 다루는 코드를 안전하게 만들어주므로, 타입스크립트 기반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반면 RHF도 숙련된 개발자 손에서는 충분히 타입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고, 수년간 실무 검증을 거친 만큼 TS 지원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폼 스키마가 복잡하거나 타입-검증 간 일관성이 중요한 프로젝트라면 TanStack Form이 런타임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잡아주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작은 폼에서는 RHF의 간결함이 오히려 더 빛날 수도 있습니다.

API 지원 및 최신 React 패러다임과의 궁합

API 스타일 측면에서는 TanStack Form이 더 유연하고 풍부한 기능(예: 내장 디바운스 async 검증 등)을 제공하지만, 사용법이 더 추상적이고 초기 코드량이 다소 많을 수 있습니다. 

React Hook Form은 간결함과 직관성으로 빠른 도입이 가능하고, 이미 React의 권고 패턴에 맞춰져 있어 러닝커브가 낮습니다. 

최신 React 패러다임에 관해서는 둘 다 큰 문제없이 활용 가능하지만, TanStack Form은 SSR/다중프레임워크 호환성을 철저히 신경 쓴 반면, RHF는 오로지 React 전용이라 Next.js 등에서 쓸 때 약간의 설정(예: use client 구문)만 챙기면 되는 정도의 차이입니다. 

프로젝트 초기 API 선택에서 탄탄한 기본기와 쉬운 사용을 원하면 RHF, 장기적 확장성과 커스텀 요구사항이 많다면 TanStack이 맞는 방향이라 볼 수 있습니다.

커스터마이징 및 컴포저블 구조 지원

복잡한 폼일수록 컴포넌트 재사용, 폼 모듈화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회사별 디자인 시스템이나 UI 라이브러리(MUI 등)와의 통합, DevTools 지원 여부도 실무 중요 포인트입니다.

 

컴포저블 디자인 면에서는 TanStack Form이 한 수 위입니다. 

처음부터 대규모 폼의 파편화를 고려한 설계로, 폼 세그먼트 재사용이나 고도 커스터마이징에 유리합니다. 

 

React Hook Form도 충분한 유연성이 있지만, 주로 콘텍스트와 Controller 조합으로 해결하며 TanStack만큼의 자유도를 제공하진 않습니다. 

대신 RHF는 바로바로 활용할 수 있는 예제와 도구들이 많아 짧은 시간 내 원하는 커스터마이징을 구현하기에 현실적으로 수월합니다. 

이미 많은 UI 라이브러리에 RHF 통합 가이드가 존재하고, DevTools로 상태를 보며 튜닝하기도 쉽습니다. 

반대로 TanStack Form은 개발자가 설계를 더 많이 주도해야 하지만 그만큼 구조적인 유연함은 최고 수준입니다. 

프로젝트에 자체 디자인 시스템이나 독특한 폼 UX 요구사항이 있고, 폼 컴포넌트를 설계단계에서부터 재사용성 높게 만들고 싶다면 TanStack이 좋은 토대가 될 수 있습니다.

실무 적용 가이드

안정성과 지원 면에서는 React Hook Form이 현시점(2025)에서는 우위입니다. 

검증된 선택인 만큼 리스크가 적고, 팀 내에 사용 경험자가 있을 확률도 높습니다. 

반면 TanStack Form은 혁신성과 잠재력이 크지만, 초기 adopter로서 겪어야 할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장기적으로 유지되고 폼이 핵심 기능이라 새로운 접근의 이점이 크다면 TanStack을 도입해 볼 가치가 있지만, 당장 출시를 앞둔 프로젝트나 팀의 폼 전문성이 높지 않은 경우 RHF가 안전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TanStack Form도 TanStack 생태계의 다른 라이브러리들처럼 시간이 지나면 커뮤니티가 성장하고 안정화될 것이므로, 중장기적으로 주목해야 할 라이브러리입니다.

 

저라면 어떤 Form 라이브러리를 선택할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React Hook Form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1. 빠른 개발이 필요한 프로젝트

  • 검증된 라이브러리로 안정적인 개발 가능
  • 풍부한 커뮤니티 자료 활용

2. 중소규모 폼 위주의 애플리케이션

// 간단한 회원가입 폼
const { register, handleSubmit, formState: { errors } } = useForm();

return (
  <form onSubmit={handleSubmit(onSubmit)}>
    <input {...register("email", { required: "이메일은 필수입니다" })} />
    {errors.email && <p>{errors.email.message}</p>}
  </form>
);

 

3. React Native 지원이 필요한 경우

React Hook Form은 React Native 환경에서 검증된 성능

TanStack Form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1.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과 다층 검증이 필요한 경우
  • 타입 안전성이 핵심인 프로젝트

2. 멀티 프레임워크 환경

// React, Vue, Angular에서 동일한 폼 로직 재사용
const formConfig = {
  defaultValues: { name: '', email: '' },
  onSubmit: async (values) => await saveUser(values)
};

// React에서
const form = useForm(formConfig);

// Vue에서도 동일한 설정 사용 가능

 

3. 재사용 가능한 폼 컴포넌트 시스템 구축

Design System의 일부로 폼 컴포넌트를 표준화하려는 경우

결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라이브러리를 선택해야 할까?

두 라이브러리는 모두 훌륭한 폼 관리 도구이며, 기본적인 폼 처리 성능이나 기능성은 충분합니다. 

최종 선택은 프로젝트 규모, 요구사항 복잡도, 팀의 역량/선호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두 라이브러리를 검토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도구는 목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소규모 폼에 굳이 무거운 설정은 필요 없고, 대규모 폼에 단순한 도구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현재 요구와 미래 확장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여, 팀에 최상의 DX와 사용자에 최상의 UX를 줄 수 있는 도구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종합해 보면 "작고 빠르게 가야 하면 React Hook Form, 크게 보고 탄탄히 가야 하면 TanStack Form"이라는 한 줄 요약이 가능하며, 이는 곧 RHF의 성숙한 실용성 vs. TanStack Form의 모던한 확장성의 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옵션 모두 Next.js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니, 위의 비교 요소들을 참고하여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