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PandaCSS vs Tailwind CSS vs Vanilla Extract 비교 분석Tip 2025. 5. 11. 19:45
RSC(React Server Component)의 출시와 Next.js의 App Router 전환 뒤 전통적인 CSS-in-JS 방식의 한계로 더욱 각광받고 있는 Tailwind CSS, Vanilla Extract, PandaCSS를 비교해 보겠습니다.1. CSS-in-JS의 한계와 새로운 접근법의 필요성과거에는 styled-components나 Emotion과 같은 CSS-in-JS 런타임 스타일 생성 방식은 런타임에 JS로 스타일을 생성·주입하는 과정은 성능 오버헤드로 이어지고, SSR(서버사이드 렌더링) 환경에서는 추가 설정이 필요하거나 FOUC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명확했지만, 편리함이라는 장점이 너무 컸기에 폭넓게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Next.js 13의 App Router 도입 ..
-
Next.js와 Node.js 기반 실시간 대용량 편집기 Part4. 차세대 전송 및 AI 기술Tip 2025. 5. 10. 00:11
이전 3편 시리즈를 통해 아키텍처, 프로토콜, 구현 및 성능 최적화, 데이터 동기화·보안을 다뤘습니다.4편에서는 실시간 대용량 편집기를 구현할 때 주목할 만한 차세대 전송 기술, P2P 메커니즘, 그리고 AI 기반 충돌 예측 및 작성 보조 기능을 살펴봅니다. 1. WebTransport 프로토콜의 적용 가능성WebTransport는 비교적 새로운 웹 전송 기술로, HTTP/3 (QUIC) 위에서 동작하는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입니다.표면적으로 WebSocket과 유사하게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지속적인 세션을 맺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지만, 아래층이 HTTP/3이므로 UDP 기반 QUIC의 이점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async function initWebTransport(url) { const tr..
-
Next.js와 Node.js 기반 실시간 대용량 편집기 Part3. 동기화 알고리즘 & 보안Tip 2025. 5. 6. 23:37
1편과 2편에서는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와 실제 구현 방법 및 성능 최적화를 다뤘습니다.3편에서는 협업 편집기의 핵심인 데이터 동기화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보안 및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위한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1. 실시간 협업을 위한 동기화 알고리즘: CRDT vs OT실시간 협업 편집기의 백미는 여러 사용자의 동시 편집을 일관성 있게 병합하는 동기화 알고리즘입니다. 대표적인 기법으로 OT(Operational Transformation)와 CRDT(Conflict-Free Replicated Data Type)가 있으며, 역사적으로 OT는 Google Docs 등에서 활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CRDT 기반의 Yjs, Automerge 등이 각광받고 있습니다.1.1 OT (Operational Tran..
-
Next.js와 Node.js 기반 실시간 대용량 편집기 Part2. 구현 및 성능 최적화Tip 2025. 5. 3. 00:14
1편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협업 편집기의 시스템 아키텍처와 프로토콜 선택 기준을 심층적으로 다뤘습니다. 이번 2편에서는 실제 Next.js 프론트엔드와 Node.js 백엔드를 사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다양한 기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Next.js 클라이언트에서의 데이터 스트리밍 처리Next.js 클라이언트에서는 실시간 편집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주로 WebSocket API를 사용합니다. Next.js는 React 기반이므로, 보통 페이지가 로드되면 useEffect 훅 등을 통해 WebSocket 연결(new WebSocket("wss://..."))을 열고 이벤트 리스너를 설정합니다.useEffect(() => { const socket = new W..
-
Next.js와 Node.js 기반 실시간 대용량 편집기 Part1. 아키텍처 & 프로토콜Tip 2025. 4. 27. 22:39
대용량 문서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다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인프라 각 계층이 유기적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프론트엔드는 Next.js를 기반으로 하여 SSR(서버사이드 렌더링)도 가능하지만, 실시간 편집기에서는 주로 클라이언트 측 SPA 동작과 WebSocket 통신을 활용하게 됩니다.Next.js 앱은 사용자의 편집 UI를 제공하고 WebSocket 등의 실시간 채널을 통해 백엔드와 통신하며, 리액트 기반의 실시간 UI 업데이트를 처리합니다. 백엔드는 Node.js로 구현된 실시간 협업 서버로, TypeScript로 작성되며 실시간 동기화 로직(CRDT/OT 알고리즘 적용)과 스트림 데이터 처리를 담당합니다. 인프라는 AWS 클라우드 상에 Kubernetes(EKS 등)를 ..
-
Next.js App Router Server Components와 Server Actions 알아보기 Part.3(Feat. react-hook-form, zod, react-query)Next.js 2025. 4. 12. 19:07
이번 글에서는 App Router의 개념들을 실제 e커머스/SaaS 예제에 적용해 보며, 구체적인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e커머스 애플리케이션과 SaaS 대시보드를 예로 들어, Next.js 15 App Router에서 Server Components, Server Actions를 활용하는 방법과, react-hook-form, zod, react-query 같은 라이브러리를 어떻게 통합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각 예제는 이해를 돕기 위한 간략한 코드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추가적인 에러 처리나 보안 고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예제 1: e커머스 제품 페이지와 장바구니e커머스 앱에서 "제품 목록 및 상세 페이지"와 "장바구니" 기능을 App Router로 구현한다고 가정해 봅시다.제품 목록 페이지여러 제품을..
-
Next.js App Router Server Components와 Server Actions 알아보기 Part.2Next.js 2025. 4. 7. 22:29
이번 편에서는 이전 편에 이어 서버 컴포넌트 및 서버 액션을 중심으로, 성능 향상 효과, 그리고 개발자 경험(DX)의 변화를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Server Actions: 서버에서 직접 수행하는 액션 처리App Router의 또 하나의 혁신은 Server Actions(서버 액션) 기능입니다.서버 액션은 간단히 말해 서버에서 실행되는 함수를 클라이언트에서 호출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Next.js 13.4에서 알파로 도입되어 Next.js 15에 이르러 더욱 안정화된 기능으로, 폼 제출이나 데이터 변경(mutation) 로직을 보다 직관적이고 타입 안전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합니다. Page Router 시절에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려면 보통 API Route를 만들고 (pages/a..
-
Next.js App Router Server Components와 Server Actions 알아보기 Part.1Next.js 2025. 4. 7. 00:27
Next.js 15의 App Router는 기존 Pages Router 기반의 클라이언트 중심 렌더링(CSR)에서 서버 중심 모델로의 큰 전환을 가져왔습니다.특히 React Server Components(서버 컴포넌트)와 Server Actions(서버 액션) 기능 도입을 통해 아키텍처 구조와 성능 측면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Next.js 15 App Router의 서버 컴포넌트의 소개와 이전 Page Router와의 차이점, SSR/ISR 등 기존 렌더링 기법과의 비교를 다루겠습니다.App Router vs Page Router: 서버 중심 모델의 등장기존 Next.js Pages Router (pages 디렉터리 기반 라우팅)는 주로 CSR을 보완하기 위해 SSR(서버 사..